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이용수  424

영문명
Transna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of K-12 Korean Students in Qingdao: Marketization in Education and Predicaments of Diversity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장수현(Jang, Soo Hyu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179~2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중국 청도지역의 한국인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현장에 초점을 맞춰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이 이들의 교육환경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그것이 이들의 교육적 선택과 관련하여 야기하는 제반 문제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중국정부의 교육시장화 정책은 국제학교, 국제부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진 외국인학교의 설립을 촉진하였다. 이 학교들은 현지화교육 모델, 국제화교육 모델, 국민교육 모델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시킨 새로운 교육모델들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는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동시에 여러 가지 다양성의 딜레마를 가져다주었다. 이제 학교 선택은 학비, 교육이념, 교과과정, 교육성과, 교육경험 등 갖가지 요소를 고려한 전략적 결정의 문제가 되었다. 특히 제한된 수의 한국학생들을 두고 학교 간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학입시라는 단기목표에 초점을 맞춘 사교육형 학교들이 청도 교육시장의 중심축으로 등장하면서 학교 선택을 둘러싼 딜레마는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the transna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of K-12 Korean students in Qingdao, China,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impact of neo-liberal educational policies o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many problems that it has generated with regard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of marketization in education led to a blossoming of international schools and international classes in Chinese schools. These schools and classes feature a wide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combining the 'local education' model, the 'international education' model, and the 'national education' model in various ways. This diversity in educational programs has widened the spectrum of school choices for students, but it also puts them in various dilemmas of diversity. Now, school choice needs a strategic decision based on serious considerations of costs, educational ideals, curriculums, educational achievements, school life, and many other factors. A deepening penetration of private education into public education further complicates this problem. Korean international schools of various sorts offer such classes as TOEFL, TOEIC, and HSK to help their students earn better results in these tests necessary for university entrance. Since this type of education can be effective for and preferred by certain students, these schools can compete with normal ones in Qingdao's education market. Now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pay serious attention to Korean international schools and classes in China and redress serious problems in these schools to ensure better education for expatriate students.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청도의 한국인 조기유학생 현황과 교육환경
Ⅲ.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Ⅳ. 다양성의 딜레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현(Jang, Soo Hyun). (2013).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열린교육연구, 21 (1), 179-202

MLA

장수현(Jang, Soo Hyun).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열린교육연구, 21.1(2013): 179-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