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이용수 469
- 영문명
- A qualitative analysis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 Focusing on it meanings, effects, and implications as an informal curriculum text for multiculturalism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나장함(Na, Jangha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279~31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다문화’에 관한 관심과 논의가 우리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다문화’라는 개념은 여전히 모호한 측면이 많다. 이는 ‘다문화’라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한 다문화 논의와 실천 사례들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다문화 교육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를 제시하고, 대중매체에서 다문화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진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다문화주의 유형 분류를 준거로 하여, TV라는 대중매체 기업 공익 광고물에서 다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질적 텍스트 분석(qualitative text analysis)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TV 기업 공익 광고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학교 밖에서 작용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텍스트의 가치와 한계를 규명하고자함에 있다. 또한 TV 광고물은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의도한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강력한 표현물이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TV 기업 공익 광고물은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보다는 대체로 소수집단에게는 한국사회로의 동화를, 주류집단에게는 온정과 포용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몇 가지 다문화주의 패러다임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각 광고물에 대한 세밀한 분석 결과는, 향후 기업이나 사회적 차원에서 다문화를 어떻게 상정하고 다루어야하는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적 차원에서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다문화적 텍스트를 어떻게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Multiculturalism is one of the most growing areas of intere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among scholars, politicians, artists, and businessmen. It is present, not only the research article, but also in everyday life we encounter various forms of multicultural practices represented in movies, TV advertisements, literatures, etc. However, the presence of so many various practices only serves to confuse lay people and distort the true meaning of multiculturalism. This is problematic, because such practices tend to support cultural stereo types of minority groups, rathe than reducing prejudice toward them.
This study investigate the meaning, potential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V pubic service advertisements that explicitly transmit a certain message concerning multiculturalism. Due to the time restriction,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tends to be organized in a way that is effective and condensed to show its intended message to the general public. In fact, public service advertising is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management, and it is both the object and the instrument of reflecting the social belief system.
A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applies qualitative text analysis and critical lenses to every aspects of selected public service advertizing as a way of reaching to hidden assumptions, implicit meanings, and potential effects of them. Although it takes time consuming efforts, and it does not allow to produce irreplaceable results,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process itself is confident enough to demonstrate a possible crit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extual evidence and grounded on the 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textual message.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and critique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practices on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lso offers a basic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ing.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유형화
Ⅲ. 연구방법
Ⅳ. 사례별 분석 결과
Ⅴ. 사례간 분석 결과 및 시사점 논의
Ⅵ.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양식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언어차원과 시각차원을 중심으로
- 통합적 미술 수업이 중학생의 정서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평가 관련 요인 탐색 :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청도 한국 조기유학생들의 초국적 교육환경: 교육의 시장화와 다양성의 딜레마
-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미국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특성 및 인식론적 신념과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일상적 다문화 대중교육 텍스트로서의 TV 기업 공익 광고물에 대한 질적 분석
-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 Is 'the whip of love' still worth it?: Controversies over the ban of physical punishment in Kore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