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92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s of Legislation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on School Practice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박인옥(Park, Inock)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149~17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2년 강원도 수석교사제의 운영 과정을 통해 학교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법제화된 제도로서의 수석교사제가 현장에서 가지는 교육적 역할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델파이조사(수석교사 8명)와 심층면담 조사(수석교사 4명과 일반교사 3명)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차례의 질문지 조사로 운영 실태와 변화를 탐색하였으며, 심층면담은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3~5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법제화에 따른 학교 변화는 학교마다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변화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변화된 특징으로는 교육의 질적 변화를 추구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기 시작하고, 수석교사는 법제화로 심적으로 당당하고 떳떳하다는 인식으로 수석교사의 적극적인 활동 의지가 증가되었으며, 신임교사와 저경력교사를 중심으로‘수업의 전문성 신장’의 기회가 증가하고, 다양한 입장과 상황에 따라 수석교사와 교원간의 관계 형성에 변화가 생긴 것 등이다. 이러한 소극적 변화에 대한 원인은 제도의 상대적 이익의 차이, 학교 문화의 복잡성, 제도와 지원체제의 미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록 수석교사제가 법제화가 되었다할지라도 현장에서 법제화의 교육적 역할은 아직까지는 미약하여 그 역할의 한계가 여전히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수석교사제가 성공적으로 교육현장에서 정착하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 수석교사의 명확한 직위와 역할 설정, 수석교사의 질적 수준 확보, 수석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 등의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인식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노력과 개선이 요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s a study on the 'Master Teacher System' that was initially carried out through legislation in 20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measures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roles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and teachers' perception in the Gangwon-do province.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urvey for eight master teachers an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for seven teachers of 47 schools within the Gangwon-do area.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hanges of school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were shown differently for each school. They started having an atmosphere to pursue qualitative changes in education as master teachers who became mentally confident and honorable owing to legislation had increased activity wills. Focusing on new teachers and less experienced-teachers, the opportunity of 'increasing professionalism of classes' was increased as there were also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master teachers and teachers dependent on various positions and school conditions. Though the Master Teacher System was legislated, the educational roles which are 'building a climate in which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the whol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at showing the limits of these roles. Thus we suggest that development measures including setting up clear position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securing qualitative level of master teachers, and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ster teachers be introduc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인옥(Park, Inock). (2013).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1 (1), 149-177

MLA

박인옥(Park, Inock). "수석교사제의 법제화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1.1(2013): 149-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