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이용수  2,137

영문명
An Inquiry on the Theorizing of Alternative Writing in Qualitative Research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천(Kim, Youngchun) 이동성(Lee, Dongsu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49~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연구자들에게 아직까지 생소한 문학적 글쓰기와 예술적 글쓰기의 다양한 유형과 특징을 소개하고,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한 질적 글쓰기의 구체적인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질적연구에서의 대안적인 글쓰기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첫째, 시적 글쓰기, 연극적 글쓰기, 소설적 글쓰기, 자서전적 글쓰기로 대표되는 문학적 글쓰기는 연구 참여자들의 생활세계를 재현하는데 유용하였다. 둘째, 회화, 콜라주, 사진, 음악, 무용 장르를 활용한 예술적 글쓰기는 복수적인 관점의 재현과 접근을 가능케 하였다. 셋째, 포스트모던 글쓰기는 자기반영성(self-reflexivity)과 다성성(multivocality)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질적 글쓰기 방법의 외연을 확장함으로써 대안적인 재현방식을 개발하고 촉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문학 및 예술 장르에 기초한 다양한 글쓰기 유형과 특징, 그리고 포스트모던 글쓰기의 이론적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질적 연구자들의 재현능력을 신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oretical knowledge of alternative writing in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troducing various writing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e writing, artistic writing and postmodern writing, which are unfamiliar to educational researchers in Korea. The writing styles can be explained in three categories: First, the literate writing styles such as poetic writing, dramaturgical writing, novelistic writing, and autobiographic writing were useful for representing life-world of research participants. Second, the artistic writing styles, which use picture, collage, photograph, music, and dancing genre, were suitable for representing and approach of multiple perspectives. Third, postmodern writing was characterized as self-reflexivity and multivoc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develop and facilitate an alternative representing style through expanding a boundary of qualitative writing method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promote representation competence of qualitative researchers through suggest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writing based on the genre of literature and art, and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writing.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문학적 글쓰기의 이론화: “문학과 글쓰기의 만남”
Ⅲ. 예술적 글쓰기의 이론화: “복수적 관점의 재현과 접근”
Ⅳ. 포스트모던 글쓰기의 이론화: “자기반영성과 다성성”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천(Kim, Youngchun),이동성(Lee, Dongsung). (2013).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열린교육연구, 21 (1), 49-75

MLA

김영천(Kim, Youngchun),이동성(Lee, Dongsung).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열린교육연구, 21.1(2013): 49-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