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Regarding the Minimum Achievement Standard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명교은 이숙향 김서현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97~12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가 본격적으로 적용된 시점에서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고 있는 일반학교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최소 성취수준 적용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교육과정 선도교사 경험이 있거나 고교학점제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고등학급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면담 결과 1. 특수교육대상자의 최소 성취수준 적용 여부, 2. 특수교육대상자의 최소 성취수준 적용 결정 과정, 3. 특수교육대상자의 예방 및 보충지도, 4. 선택 중심 교육과정 내 특수교육 대상자의 최소 성취수준 운영의 어려움, 5. 책임교육 실천 기반의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라는 5개의 대주제와 이와 관련한 하위 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제언: 현재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의 최소 성취수준 적용 과정을 탐색해 본 결과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모두를 위한 책임교육의 취지가 충분히 반영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탐색하고, 특수학급의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구조적 과제를 조명하며 이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M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high schools, under a student-centered elective curriculum. Method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in curriculum leadership 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five main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as follows: (1)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M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its application, (3) preventive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al practices, (4) challenges in implementing the MAL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ithin an elective curriculum, and (5) support needs for operating a curriculum based on responsible education in special classe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vised curriculum’s goal of ensuring responsible education has not been fully realiz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explore inclus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to address structural challenges related to the integrated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