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iagnostic and Assessment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stitutes for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박나연 김지영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263~2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들이 진단·평가 경험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질적 제고 방안을 모색했다. 서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1년 이상 해당 업무를 수행한 유·초·중 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했으며, 설명적 내용분석 및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단·평가 과정에서 학교 및 보호자, 위탁기관, 특수교육운영위원회와의 의사소통 및 지침 및 운영 시스템의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이 드러났다. 또한 평가 도구 활용의 한계와 교사의 전문성 차이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동시에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사들은 협력 주체와의 의사소통을 통한 정보 수집, 평가 도구 활용 및 해석 과정에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노력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진단·평가 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학문적 협력 체계 구축 지원, 교사 전문성 향상 및 공동체 형성, 평가 도구의 현행화, 선정 기준 명료화 및 홍보, 미선정 학생 후속 지원 연계 등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점을 반영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교육청 내·외부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한 연대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원하는 중심 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stitutes for Special Education in Seoul in conducting diagnosis and assessment practices. Seven preschoo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content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The findings reveal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schools, guardians, agencies, and committees, as well as limitations in guidelines, systems, and assessment tools. Variations in teacher expertise were also identified. Despite these challenges, teachers pursue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collaboration and efforts to improve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tool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including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teacher development, updated tools, clearer selection criteria, and follow-up services, highlighting the role of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as key agencies for addressing diverse learner nee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나연,김지영. (2025).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통합교육연구, 20 (2), 263-286

MLA

박나연,김지영.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통합교육연구, 20.2(2025): 263-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