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lic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for All Students in Finland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임현숙 임경원 윤태성 복헌수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287~32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핀란드 특수교육 개혁과 포용교육을 위한 지원체계 및 그 실제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핀란드 포용교육 관련 문헌 66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핀란드는 1997년 중증장애학생 의무교육 시작을 기점으로 1998년 개별화교육계획 법안 마련, 2007년 특수교육 전략 문서 공포, 2010년 교육재정 분배 방식 개선 및 3단계 지원 모델 도입 등 특수교육 제도를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또한 핀란드에서는 학습, 언어발달 지연, 신경학적 문제 등 지원이 필요한 모든 학생을 특수교육 요구 학생으로 분류하며, '특수교육'이라는 용어 대신 '학습 및 학교생활지원(Learning and Schooling Support)'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둘째, 핀란드 포용교육 지원체계의 중심인 발테리 학습 컨설팅 센터는 다학제적 팀 접근을 통해 집중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조기 개입과 예방을 목적으로 마련된 '3단계 지원 모델'(일반·강화·특별지원)은 별도 진단과정 없이 즉각 개입하며,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에 기반해 운영된다. 셋째, 핀란드 특수교사는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특수학급 교사(ELO)와 일반학급에서 일반교사와 함께 교수활동을 하는 특수교사(EO)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핀란드 포용교육 실현의 핵심은 협력교수(co-teaching)에 있고, 협력교수의 중점은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 관계적 주체성(relational agency)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핀란드 일반교사 중에는 포용교육에는 동의하나 실제로는 분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도 있었다. 협력교수 실행이 어려운 이유는 '동료교사 찾기', '협의 시간과 교사 역량 부족', '보조인력 부재' 등으로 우리나라와 유사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nish special education reform, the support system for inclusive education, and its practices, and to draw implications. To this end, 66 Finnish inclusive education-related docum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land has systematically developed its special education system, starting with compulso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1997,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act in 1998, the promulg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trategy document in 2007, an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funding distribution metho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three-tiered support model" in 2010. In Finland, all students who require support—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and language development delays or neurological issues—are classified as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stead of using the term "special education," a more comprehensive term, "Learning and Schooling Support" is used.
Second, the Valteri Learning and Consulting Centre, which is at the heart of Finland's inclusive education support system, provides intensive support through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The "Three-tiered Support model" (general, intensified, and special support), designed for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allows for immediate intervention without a separate diagnostic process and operates based on teachers' autonomy and expertise.
Third, in Finl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classified into special-class teachers (ELO; erityisluokanopettaja), who are responsible for special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O; erityisopettaja), who co-teach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mainstream class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of realizing inclusive education in Finland lies in co-teaching, and the core of co-teaching lies in emotional support and relational agency. However, among Finnish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agree with inclusive education while perceiving that, in practice, segregated education is necessary. The reasons that implementing co-teaching is difficult—such as finding a partner teacher, insufficient time for consultation and limited teacher capacity, and the lack of support staff—were similar to those in our country. Based on these results, we held a discussion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분석대상 목록 66편(전체서지 정보 연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4집 목차
-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교육적 인식과 활용 실태
- 글로벌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주대학교 GTU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