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Legal Frameworks for Realizing Inclusive Education as a Fundamental Right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두휴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을 비장애 또래와 함께 학습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배제와 차별을 극복하고, 실질적 평등과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핵심 수단이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헌법적 근거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법률적 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은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교육 방식으로서, 인간의 존엄성, 평등권, 그리고 교육받을 권리라는 헌법적 가치를 실현하는 핵심적 수단임을 확인하였다. 법제 분석을 통해 교육기본법과 특수교육법은 통합교육의 이념적 근거와 목표를 규정하고 있으나, 초·중등교육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은 통합교육을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기능이 제한적임이 드러났다. 특히 최소제한환경 원칙의 부재와 특수교육법의 정의 체계는 통합교육을 보편적 원리로 정립하는 데 구조적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의 개정, 특수교육법의 지원체계 재정립, 그리고 최소제한환경 원칙의 명문화 등 법제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은 선택적 정책이 아닌 국가의 필수적 책무이며, 장애아동의 교육권 보장과 포용적 사회 실현을 위해 법적 체계 전반의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다만 본 연구는 법적 체계 분석에 초점을 두어 실제 교육 현장의 실행 과정과 적용 사례는 포함하지 못했으며, 향후 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clusive education is a vital mechanism for overcoming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promoting substantive equality, and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by ensuring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learn alongside their non-disabled peers. This study analyzes the constitutional basi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legal framework supporting its realiza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inclusive education serves as a core means of implementing constitutional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equality, and the right to education.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Act provide the ideological foundation and objectives of inclusive education, bu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the Anti-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play only a limited role in its direct implementation. Structural constraints, including the absence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principle and the definitional framework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hinder the establishment of inclusive education as a universal principle.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legislative reforms: revising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restructuring the support system under the Special Education Act, and codifying the principle of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Ultimately, inclusive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not as a discretionary policy but as a constitutional obligation, requiring systemic legal reform to secure the educational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advance an inclusive society.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통합교육의 전개와 확산
Ⅲ. 장아애동의 교육받을 권리로서 통합교육의 헌법적 근거
Ⅳ. 통합교육의 실현을 위한 법률적 체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