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o-Teaching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통합교육학회
저자명
윤진선 이아현
간행물 정보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57~1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2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협력교수 중재연구 17편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설계), 중재요소(중재기간, 중재회기수, 중재시간, 독립변인, 종속변인), 그리고 협력교수 유형별 현장 적용 방식과 구성요소에 따른 세부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협력교수 중재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장애 유형별로는 지적장애를 포함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이 다수를 차지하였고, 연구설계는 대부분 집단실험설계에 기반하였다. 중재는 주로 7–12주 동안 주 1–2회, 회기당 40분 이하로 실시되었다. 독립변인은 교과 및 범교과 협력교수와 프로그램 중심 협력교수를, 종속변인은 학업 성취도, 학급 분위기, 사회성 기술, 학습 동기, 수업 참여도, 인식 및 태도 등을 포함하였다. 협력교수 유형으로는 교수-지원 교수, 팀 교수, 평행교수, 스테이션 교수, 대안교수, 교수-관찰 교수가 활용되었으며, 교수-지원 교수, 팀 교수 순으로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협력교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17 co-teaching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8 and 2025 to examine overall research trends. The analysis focu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 design), intervention components (duration, number of sessions, session length,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detailed aspect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and components of different co-teaching models. The findings revealed a dramatic increase in co-teaching intervention research in recent years, with studies involv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ing the most comm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and most studies were based on group experimental designs. Interventions were typically conducted over 7–12 weeks, one to two times per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less than 40 minute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ubject-specific and cross-curricular co-teaching as well as program-based co-teaching, while dependent variables encompassed academic achievement, classroom climate, social skills, learning motivation, class participation, perceptions, and attitudes. Co-teaching models such as one-teach/assist, team teaching, parallel teaching, station teaching, alternative teaching, and one-teach/observe were applied, with one-teach/assist and team teaching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o-teaching in inclusive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진선,이아현. (2025).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통합교육연구, 20 (2), 157-179

MLA

윤진선,이아현.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통합교육연구, 20.2(2025): 157-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