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Focusing on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경 서효정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29~1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77명의 응답이 수집되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교사 협력을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 사회적 통합을 위한 협력, 통합교육 운영 및 관리를 위한 협력 세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각 영역에서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고, IPA 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협력의 형태 중 하나인 협력교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교사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특수교사 집단의 경우 교사 간 협력의 중요도를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였으나 실행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았다. 둘째, 일반교사 집단 또한 협력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나 실행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협력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았다. 셋째,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실제 경험은 제한적이었고, 실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업무 부담 증가, 교사 간 역할 불분명, 협력교수 전문성 및 경험 부족 등이 확인되었다. 넷째, 협력 촉진 방안으로는 통합학교 교육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특수교사 배치 확대, 학급당 학생 수 감축, 교사 업무 범위 명확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는 교사 간 협력이 지속되기 위해 제도적·환경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actual practices of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etting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both groups, and a total of 577 responses were collected. Teacher collaboration in inclusive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1) collabor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2) collaboration for social inclusion, and (3) collaboration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inclusive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each domain were examine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co-teaching as a form of collaboration, and to identify strategies for promoting effective collaboration.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ly recognized the high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ut reported relatively low levels of implementation. In particular, collabor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showed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Seco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lso perceived collaboration as highly important but implemented it at a low level, with curriculum integration again emerging as the weakest area. Third, teachers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teaching but reported limited actual experience. The main barriers identified were increased workload, unclear role definitions, and a lack of expertise or experience in co-teaching. Finally, to enhance collaboration,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expanding the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chools,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clarifying teachers’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support is essential to sustain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