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ptions of Co-Teaching Amo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Co-Teaching Experienc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희 박소영 유장순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61~9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차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경험은 초등 특수교사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초등학교가 중등학교보다 협력교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경험은 교육 총 경력과는 관련이 있었으나 특수교육 경력이나 통합학급 담임 경력과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둘째, 협력교수의 장점은 학생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협력교수 경험 여부는 이러한 장점 인식에 실질적인 차이를 주었다. 셋째, 협력교수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시간적 부담을 가장 크게 인식한 반면,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제도적 지원의 부족을 주된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협력교수 운영상의 어려움은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제도적 지원 부족과 시간표 조정 등의 실제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다. 다섯째, 협력교수 지원 요구사항은 초등 일반교사는 학생 정원 감축을, 중등 일반교사는 협의체 운영 및 연수 지원을, 특수교사는 교사 업무 경감과 연수 강화를 각각 강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가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행정적 지원체계 마련, 인력과 시간의 합리적 배분, 교육철학의 공유와 같은 다층적 접근이 필요하다. 더불어 협력교수 경험 유무와 학교급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지원방안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co-teaching experie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teaching experience was most common among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s showing more active implementation than secondary school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teaching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total teaching experience, but not with special education tenure or experience as an inclusive classroom homeroom teacher.
Teachers identified student support as the primary benefit of co-teaching, and those with experience recognized this advantage more strongly. In contrast, experienced teachers considered time constraints the main difficulty, while inexperienced teachers emphasized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Regardless of experience, teachers commonly pointed to systemic barriers such as insufficient institutional support and scheduling conflicts.
Support needs differed by group: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stressed class size reduction,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emphasized collaborative system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ighlighted workload reduction and enhanced trai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teaching in inclusive classrooms requires a multi-layered approach, including strengthened administrative support, adequate allocation of personnel and time, and the sharing of educational philosophy. Furthermore, differentiated support tailored to teachers’ co-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level characteristics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