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n education of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성구 김동규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181~22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교육분야에서의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이하 ‘UDL’)의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제범위 중심의 서술적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4년까지 출판된 학술지 문헌을 국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고, 최종적으로 125편의 논문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은 주제범위 중심의 서술적 문헌 고찰에 따라 나누어진 ‘학교교육’, ‘교육자료’, ‘교사인식 및 학교 밖 교육’의 세 가지 측면에서 문헌을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국내 교육분야에서의 UDL 문헌의 주제 특징을 살펴보면, ‘학교교육’ 측면에서는 UDL을 모든 학생의 수업 참여를 위한 학교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으로 다루기보다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에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자료’ 측면의 문헌들은 국내 교육환경에 적합하게 개선된 UDL 가이드라인을 디지털 형태의 교육자료에 적용할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나, 실제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의 교육 정책 및 개발 사업에서는 형식적으로만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뿐이라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인식 및 학교 밖 교육’ 측면에서는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UDL이 국내 교육환경 구축 및 지원을 다루기보다는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교수자의 인식을 보편적 관점으로 확장하기 위한 원리나 철학적 기초를 구성하는 데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국내 교육분야에서의 UDL 관련 연구는 우리나라의 포용적 교육 실현하기 위해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환경의 실질적인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교육 정책 및 법 개정 추진에도 관점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n the Korean education sector. To achieve this, a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matic scope was conducte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up to 2024 were retrieved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Platforms, and a total of 125 pap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cross three dimensions defined by the thematic scope: “school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er perception and out-of-school education”.
Examining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of UDL literature in Korean education: In the “school education” dimension, UDL was found to focus more o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rather than being addressed as a practical, school-wide support system to promote participation for all students. Literature on “educational materials” emphasized the need to apply UDL guidelines—adapted to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to digital learning resources.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 offices tend to apply these guidelines only superficially in their policies and development projects. - In the “teacher perception and out-of-school education” dimension, similar to school education, UDL was primarily used as a principle or philosophical foundation to broaden educators’ perspectives across various educational fields, rather than as a tool to build and support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s. In conclusion, future UDL-related research in Korea should focus more on promoting substantial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all students. It suggests the need to pursue more concrete educational policies and legal reforms to realize inclusive education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