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은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2호, 243~2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의 2022년 제5차 장애인 삶 패널조사 자료 중 초등학교 재학생 37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SPSS 27.0, PROCESS Macro(version. 4.2)와 AMOS 2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였다. 셋째,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넷째, 통제변수 중 학교형태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 장애유형, 중복장애, 학년, 장애정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촉진하기 위해 또래관계 강화와 자아존중감 증진을 병행하는 다차원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적응 간의 매개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적 개입과 정책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는 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er 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Data were drawn from the fifth wave (2022) of the Pane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a sample of 37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analyzed. Using SPSS 27.0, PROCESS Macro(version 4.2) and AMOS 26.0,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attachment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r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among the control variables, only school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whereas gender, type of disability, multiple disabilities, grade level, and severity of disa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hat simultaneously strengthens peer relationships and enhances self-esteem is essential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a mediation model linking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ereby providing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policy development aimed at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핀란드의 모든 학생을 위한 포용교육이 주는 함의
- 교육분야 보편적 학습 설계(UDL) 연구에 대한 서술적 문헌 고찰
- 통합교육의 기본권적 성격과 법률적 실현 체계 분석
- 협력교수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 일반학교 특수교육대상자의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인식 및 실태: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중점으로
-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편적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종합 연구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교수 중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일반 학교 중등 체육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기 인식 형성과 태도 변화 과정 탐색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진단·평가 경험 연구- 서울 지역 교사의 진단·평가 과정의 어려움 및 지원 요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4집 목차
-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교육적 인식과 활용 실태
- 글로벌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주대학교 GTU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