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Longitudinal Cross-Lagged Analysis of Academic Engagement and Gri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Level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황재원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249~26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의 종단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고등학생 패널 중 3개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끈기가 다음 해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이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학업열의는 두 집단 모두에서 다음 해 끈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 관련 심리 자원 간의 관계가 단선적인 인과관계에 그치지 않고 시간에 따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학생이 인식하는 학교환경의 질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학업열의와 끈기의 순환적 관계 속에서 학교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실증적으로 밝혔으며, 이를 통해 학생의 지속적인 학업 몰입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서 정서적 만족과 환경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engag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attention to the moderating rol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three consecutive waves of the KCYPS(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an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 was applied. Results showed that grit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over time in the high satisfaction group, whereas this pathwa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w satisfaction group. In contrast, academic engagement negatively predicted grit in both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engagement is no unidirectional but dynamic, and that its direction and strength vary according to students’ perceived quality of school life.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s that promote both motivation and persistence. The result highlights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ddress student’s emotion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in order to sustain academic engagement over time.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재원. (2025).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32 (3), 249-264

MLA

황재원.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32.3(2025): 249-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