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ntional Attribu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ocial Anxiety Among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박지혜 함경애 이동훈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7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A 광역시의 초등학교 3곳의 한부모가정 아동 4~6학년 245명을 대상으로 애착외상 척도, 의도 귀인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수집된 2012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한부모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애착 외상, 의도 귀인,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은 의도 귀인을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은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과의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은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tentional attribu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ocial anxiety among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Data were drawn from a 2012 survey of 245 fourth- to sixth-grade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City A. The measures included validated scales assessing attachment trauma, intentional attribu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anxiety. First,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trauma, intentional attribu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anxiety. Next, mediation models were tested to determine whether intentional attribu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link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ocial anxiety. Results indicated that attachment trauma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anxiety through the mediation of intentional attribution. Converse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a negative pathway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social anxiety. Furthermore,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showed that attachment trauma influenced social anxiety through intentional attribution, followed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 적대적 귀인 편향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어린 시절 지각된 어머니의 우울이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 반복적 부정사고의 완화요인으로서 인지적 재구성과 탈중심화의 비교: 생활사건, 반복적 부정사고,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두 완화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