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Latent profiles of perceived unfairness (eogul), depression, and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in middle-aged men: Difference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곽윤정 김은하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135~15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 수준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각 프로파일에 따라 초기 부적응 도식(단절 및 거절, 손상된 자율성과 손상된 수행, 손상된 한계, 타인-중심성, 과잉경계 및 억제)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년 남성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안정군, 취약군, 위험군의 세 집단이 도출되었다. 안정군은 억울과 습득된 자살 실행력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취약군은 중간 수준, 위험군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세 집단 간 우울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어서 세 집단 간 초기 부적응 도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위험군이 모든 도식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취약군, 안정군 순이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과잉경계 및 억제 도식은 위험군과 안정군을, 손상된 자율성과 수행 도식은 취약군과 안정군을, 그리고 과잉경계 및 억제, 손상된 자율성과 수행, 타인-중심성 도식은 위험군과 취약군을 유의하게 구분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classify middle-aged men based on levels of perceived unfairness (eogul), depression, and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examined difference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EMS) across the identified profiles. A total of 500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Three distinct profiles emerged: stable, vulnerable, and high-risk groups, The stable group reported the lowest levels of perceived unfairness and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the vulnerable group showed moderate levels, and the high-risk group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However, depress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risk group scored highest across all EMS domains, followed by the vulnerable and stable group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vigilance & Inhibition schema significantly distinguished the high-risk from the stable group; the Impaired Autonomy & Performance schema differentiated the vulnerable group from the stable group; and the Overvigilance & Inhibition, Impaired Autonomy & Performance, and Other-Directedness schemas significantly distinguished the high-risk from the vulnerable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are important psychological markers for differentiating levels of suicide-related risk among middle-aged me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윤정,김은하. (2025).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32 (3), 135-154

MLA

곽윤정,김은하.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32.3(2025): 135-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