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Role of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motional-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mo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최보름 유현실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155~1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무응답과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335부를 수집하여 SPSS Process macro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부와 모의 애착 수준이 각기 높을수록 진로결정 어려움을 덜 겪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와 모애착 수준이 각기 높을수록 자기위로능력 수준이 높으며, 자기위로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낮았다. 셋째, 부‧모애착과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애착은 이들의 자기위로 능력을 통해 정서적 및 성격적 진로결정 어려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관련된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위로능력의 심리학적 개입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attachment to their father and mother and their emotional-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EPCD).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through a survey, after excluding incomplete or invalid response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the levels of both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associated with fewer EPCD. Second, stronger attachment to both parents were linked to higher levels of self-soothing ability, which in turn predicted lower levels of EPCD. Third, self-soothing abil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EPC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perceived attachment to their parents influences PECD indirectly through their capacity for self-soothing.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significance,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 적대적 귀인 편향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어린 시절 지각된 어머니의 우울이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 반복적 부정사고의 완화요인으로서 인지적 재구성과 탈중심화의 비교: 생활사건, 반복적 부정사고,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두 완화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