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 적대적 귀인 편향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Control Moderated by Hostile Attribution Bia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김주영 양재원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57~7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적대적 귀인 편향이 조절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성인 336명을 대상으로 강박 증상 목록(OCI-R-K),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한국판 Shapiro 통제척도(K-SCI), 가설적 상황도구를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박 증상이 낮은 지각된 통제감을 매개로 역기능적 분노 표현에 영향을 미쳤으며, 적대적 귀인 편향이 지각된 통제감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박 증상이 역기능적 분노 표현과 관련된 인지적·정서적 기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강박 증상의 치료적 개입에서 분노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각된 통제감 향상과 인지적 왜곡 수정 전략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임상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compulsive (OC) symptom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further tested whether hostile attribution bias moderates this process. A total of 336 adults completed the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Revised Korean version (OCI-R-K),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K), the Korean version of the Shapiro Control Inventory (K-SCI), and a hypothetical scenario task.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OC symptoms predicte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rough reduced perceived control. Furthermore, hostile attribution bia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n empirical understanding of cognitive and emotional mechanisms connecting OC symptoms with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Clinic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OC symptoms should address not only anger regulation but also the enhancement of perceived control and the correction of cognitive distortions. This study offers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OC symptom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 적대적 귀인 편향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어린 시절 지각된 어머니의 우울이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 반복적 부정사고의 완화요인으로서 인지적 재구성과 탈중심화의 비교: 생활사건, 반복적 부정사고,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두 완화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