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Adult Somatiz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Alexithymia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175~1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부적응도식과 신체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424명을 대상으로 초기부적응도식 척도(YSQ-SF), 한국어판 수용-행동질문지 척도(K-AAQ-II),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통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도식과 경험회피,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경험회피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초기부적응도식에서 비롯된 신체화 증상 개선을 위해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에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omatization, with a focus on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alexithymia. A total of 424 adul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YSQ-SF), the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K-AAQ-II),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20 (TAS-20),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Hayes (2013) PROCESS Macro to tes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mediation,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maladaptive schem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xperiential avoidance, alexithymia, and somatization. Second,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omatization. Third, alexithymia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omatization. Fourth,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on was observed, whereby experiential avoidance and alexithymia jointly explained the pathway from early maladaptive schemas to somatization. The study’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5).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32 (3), 175-195

MLA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32.3(2025): 175-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