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 시절 지각된 어머니의 우울이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Perceived by Offspring During Childhood on Emerging Adulthood Problematic Drinking: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and Offspring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장수정 이문희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과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19세~29세 미혼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우울 척도,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척도, 자녀의 우울 척도, 자녀의 문제음주 척도를 사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와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어머니의 우울과 자녀의 문제음주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과 자녀의 문제음주 관계에서 자녀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과 자녀의 문제음주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이 자녀의 문제음주로 이어지는 심리적 경로를 제시하였고, 초기성인기의 문제음주의 상담개입에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and offspring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s perceived by offspring during childhood, and problematic drinking in emerging adulthood.. A total of 300 unmarried participants aged 19 to 29 completed online surveys assessing maternal depression,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offspring depression, and problematic drink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Model 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alone was not significant. Second, offspring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roblematic drinking. Third,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and offspring depression jointly exerted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highlights the psychological pathways through which maternal depression may contribute to problematic drinking in emerging adulthoo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 강박 증상과 역기능적 분노 표현의 관계: 적대적 귀인 편향에 의해 조절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 한부모가정 아동의 애착 외상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의도 귀인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어린 시절 지각된 어머니의 우울이 초기성인기 자녀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자녀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 중년 남성의 부당성 인식(억울), 우울, 습득된 자살 실행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정서‧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 반복적 부정사고의 완화요인으로서 인지적 재구성과 탈중심화의 비교: 생활사건, 반복적 부정사고,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두 완화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업열의와 끈기 간 종단적 교차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