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라영안 김경은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32권 제3호, 223~2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직장인의 소명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문헌을 바탕으로 소명에 대한 개념과 소명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CI 등재 학술지 중 양적 연구 28편을 선정하여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주제로 수행된 연구 논문 건수는 2015년 이후 안정적이었으며 2020년 6편(21%)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2022년을 제외하고 지금까지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둘째, 연구들은 주로 교육학·심리학·상담학·간호학·관광학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 비중은 교육, 의료, 일반기업, 관광, 상담, 공공기관 종사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의 측정도구는 CVQ-K, MCM-K, VCS-K, BCS, 기타 순으로 활용 빈도가 높았다. 넷째, 분석 문헌들은 주로 소명을 독립변인 또는 매개변인으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두 변수의 관계를 검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명을 기반으로 직장인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상담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sense of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 Twenty-eight quantitative studie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were identified and examined through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activity on this topic remained stable after 2015, peaking in 2020 with six studies (21%), and -except for 2020- has shown a general upward trend. Second,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s of education, psychology, counseling, nursing, and tourism, with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educators, healthcare professionals, corporate employees, tourism workers, counselors, and public sector employees, in that order of prevalence. . Third,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ments for measuring calling were CVQ-K, MCM-K, VCS-K, and BCS. Fourth, in most studies, calling was conceptualized as an independent or mediating variable, while job satisfaction was treated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review highlights the evidence linking calling to job satisfaction and underscore the value of calling-base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enhance employees’ well-being and workplace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이론적 배경
방 법
결 과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라영안,김경은. (2025).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32 (3), 223-247

MLA

라영안,김경은. "직장인 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32.3(2025): 223-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