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IPP 모형을 통한 전공자율선택제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ajor Self-Selection System through the CIPP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김형기 이영환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32권 제3호, 257~29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 정책을 CIPP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정책은 학생들에게 진로 탐색기회 확대와 융합인재 양성을 목표로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적성 및 전공 탐색기회 제공, 전공선택권 확대와 같은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정책 도입과정이 일방적이고 대학현실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 정책문건, 언론보도, 선행연구, 대학 사례를 활용하여, 전공자율선택제 정책을 상황-투입-과정-산출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평가 결과, 전공자율선택제는 미래인재 양성 수단 측면에서 필요성이 인정될 수 있지만, 대학의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성급히 추진되어 다수의 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입평가 결과,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으로 정책 도입 여건은 마련되었으나, 정부 예산이 무전공 학생을 위해 배분되고 집행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정평가 결과, 현장 의견수렴 부족, 교육여건 조성 미비 등으로 정책 실행의 정당성과 준비도에 문제가 있었고 일부 대학은 제도 도입이 형식적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출평가 결과, 전공선택 유예에 대해 긍정적 반응은 있었으나 제도 목적과 융합역량에 대한 이해는 낮았고, 중도탈락 우려가 있는 등 부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자율성 제고, 융합교육과 진로 설계가 가능한 방향의 교육과정 개편, 상담 시스템 구축 등 정책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evaluates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s Major Autonomy Selection Policy using the CIPP model to derive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he policy allows university entrants to remain undeclared, encouraging career exploration and interdisciplinary talent development. However, its validity and structure requir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government documents, media coverage, existing research, and a case study of University 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text Evaluation: The major self-selection system may be one of the means of cultivating future talents, but it was difficult t o confirm the legitimacy o f hastily p romoting it in a s ituation where universities were not prepared. Second, Input Evaluation: Over 50–60% of government funding was tied to policy adoption, limiting institutional autonomy. However, incentives did not translate into improved support for undeclared students. Third, Process Evaluation: Stakeholder consultation and pilot testing were insufficient, and many institutions simply rebranded existing programs as “Autonomous Major Units” without genuine curricular change. Fourth, Product Evaluation: Students appreciated the ability to defer declaring a major but were largely unaware of the policy’s aims. Concerns about high dropout rates among undeclared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difficulty achieving desired outcome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oretical discussions by applying the CIPP model to higher education policy changes. It also recommends enhancing curricula, establishing individualized advising systems, and preserving university autonomy in policy-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전공자율선택제 평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기,이영환. (2025).CIPP 모형을 통한 전공자율선택제 평가. 교육정치학연구, 32 (3), 257-291

MLA

김형기,이영환. "CIPP 모형을 통한 전공자율선택제 평가." 교육정치학연구, 32.3(2025): 257-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