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자치 협력사무 담당자의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지방소멸 지역 교육지원청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ritical Autoethnography of General Autonomy Cooperation Office Manager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Local Education Support Offices in Regions Experiencing Local Extin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노한나 김성천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2권 제3호, 189~22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방소멸 지역에서 교육지원청에서 장학사로 일하는 나는 다년간 혁신교육지구와 교육발전특구 사업을 맡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협력을 경험하며, 교육협력 현실의 구조적 문화적 문제를 드러내고 실천 전략의 효과를 비판적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협력의 어려운 점은 첫째는 행정구조의 모순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위계가 상이한 군수와 교육장, 그리고 면장과 교장이 소지역 행사에서 의전을 통한 힘겨루기와 같은 소모적 갈등 장면이 발생한다. 이는 시군・교육청・교육지원청이 서로 권한이 달라 의사결정 협의구조 안에 내재된 모순 때문이기도 하다. 두 번째 어려운 점은 교육철학 관점의 차이로서, 지자체의 수도권 입시 과몰입으로 대표되는 성과주의와, 이와 반대되는 교육지원청의 지역 정주와 보통 교육 중심 관점이 상응한다. 세 번째 어려운 점은 지역의 고유한 배타성으로, 선주민 중심의 네트워크가 이주민을 배려하지 않는 현실에서, 교육지원청이 나서서 이주자도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활동의 장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 전략으로 첫째, 환대와 우정 쌓기를 통한 관계형성, 둘째, 단계적 접근을 통한 인식 개선, 지역 중심 서사의 누적, 공론장을 통한 의제 형성, 셋째, 교육과정 중심의 거버넌스 운영을 여러 방식으로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I have studied the difficulties of cooperation and the strategies for resolution through critical self-ethnography. The first difficulty in cooperation is the contradiction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This leads to wasteful conflicts such as a power struggle through protocol between county governors and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township heads, and school principals at local events. This is also due to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decision-making and consultation structure of the city, county, and office of education, which have different authorities. The second difficulty is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philosophy perspectives, which corresponds to the performance-based approach represented by the excessive focus of local governments on entrance exam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perspective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at focuses on regional settlement and general education. The third difficulty is the unique exclusivity of the region, and in a reality where the network centered on indigenous people does not take immigrants into consider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must step forward and create a new educational activity venue in which immigrants can also participate. As a practical strategy to solve these difficulties, first, relationship building through hospitality and friendship building, second, awareness improvement through a step-by-step approach such as accumulation of regional-centered narratives and agenda setting and formation of public forums, and third, governance operation through activating empowered private participation were attempted in various way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에 관한 연구 : 단절적 균형이론을 중심으로
- 디커플링과 커플링 사이 : 5・31 교육개혁 창안과정에서 청와대 교육비서실 관료의 역할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 회귀모델을 이용한 국내 박사인력 성별 임금 격차 예측요인 탐색
- 정책수단으로서 금전적 유인과 학교조직의 변화 - 교실혁명 선도교사 정책을 중심으로 - *
- CIPP 모형을 통한 전공자율선택제 평가
- 의대정원 증원 정책의 정책오차와 수정 제약 요인 분석: ‘정책오차 수정 실패의 제도화’ 관점을 중심으로
- 기간제법의 교육계열 연구직 적용 과정에서 제기되는 쟁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언론보도 분석
- 일반자치 협력사무 담당자의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지방소멸 지역 교육지원청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