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언론보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Shifting Discourses on Teachers’ Political Rights in South Korea(1990–2024): A Topic Modeling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하은호 조용필 서재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2권 제3호, 155~18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언론보도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관련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시기별 주요 쟁점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Bigkinds)에서 199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1월 5일까지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을 주제로 생산된 기사 3,499개를 수집하였으며, 선별과정을 거쳐 1,621개 기사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에 대한 관심도는 우상향하였으며, 이 때 대중이 관심을 갖는 키워드는 시기별로 상이하였다. 둘째,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잠재된 토픽은 4개였으며, 토픽의 출현 확률은 년도별로 상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담론은 단일한 쟁점으로 수렴되지 않으며, 교사의 이중적 지위와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의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 주목해야하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scourse on teachers’ political rights by analyzing media coverage and identifying key issues across different periods. A t otal o f 3,49 9 a rticles related to t eachers’ p olitical rights, published between January 1, 1990, and November 5, 2024, were collected from Bigkinds, the database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After a selection process, 1,621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The analysis produced three main findings. First, public attention to teachers’ political rights has shown an upward trend, with the prominent keywords differing by period. Second, four latent topics were identified, and the probability of their occurrence varied across years. Thir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scourse on teachers’ political rights does not converge into a single issue. Rather, it is shaped in multiple ways depending on teachers’ dual status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critical considerations for policy-making processes concerning teachers’ political right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에 관한 연구 : 단절적 균형이론을 중심으로
- 디커플링과 커플링 사이 : 5・31 교육개혁 창안과정에서 청와대 교육비서실 관료의 역할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 회귀모델을 이용한 국내 박사인력 성별 임금 격차 예측요인 탐색
- 정책수단으로서 금전적 유인과 학교조직의 변화 - 교실혁명 선도교사 정책을 중심으로 - *
- CIPP 모형을 통한 전공자율선택제 평가
- 의대정원 증원 정책의 정책오차와 수정 제약 요인 분석: ‘정책오차 수정 실패의 제도화’ 관점을 중심으로
- 기간제법의 교육계열 연구직 적용 과정에서 제기되는 쟁점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 관련 언론보도 분석
- 일반자치 협력사무 담당자의 비판적 자문화기술지: 지방소멸 지역 교육지원청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