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orest Walk Experience of 2-Year-Old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성정민 박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323~36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세 영아가 숲 산책을 하는 동안 경험하는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자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을 적용하여, 영아의 경험을 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이라는 네 가지 실존적 존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2023년 4월부터 12월까지 8개월 동안 B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세 영아 10명을 대상으로 총 43회의 숲 산책 참여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영상 및 사진 자료, 교사 인터뷰, 현장 노트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영아는 자연 환경 속에서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이며 새로운 감각을 확장하고, 주변 세계와의 감각적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또한 몰입과 멈춤, 계절 변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시간적 흐름을 체감하였고, 숲을 상상 놀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변형시키며 공간성을 풍부하게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또래 및 교사, 자연과의 관계성을 형성하며 자아와 타자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숲 산책은 2세 영아에게 신체적․정서적․사회적 발달을 통합적으로 자극하는 풍부한 경험임이 드러났다. 이는 영아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는 자연 기반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wo-year-old infants' experiences during forest walks. Apply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methodolog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infants' experiences across four existential dimensions: corpore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 A total of 43 forest walks were observed with ten two-year-old infants attending Daycare Center B over an eight-month period from April to December 202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ideo and photographic footage, teacher interviews, and field not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fants actively and autonomously moved within the natural environment, expanding their senses and experiencing sensory interactions with the surrounding world. Furthermore, they experienced the passage of time through immersion, pauses, and awareness of seasonal changes. They also transformed the forest into a space for imaginative play and social interaction, enriching spatiality. Through this process, they developed relationships with peers, teachers, and nature,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s. In conclusion, forest walks were found to be a rich experience that comprehensively stimulates th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wo-year-old infa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nature-based education in foster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inf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 문화 다양성 역량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3년 연임담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 진성 리더십 원장과 근무하는 MZ세대 보육교사의 경험 연구
-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 5세 유아의 태블릿 PC 활용 놀이경험 탐색
- 이오덕의 ‘일하는 아이들’ 담론 연구: 1974년, 1998년의 ‘두 가지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