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The Kitchen in Picture Books: Representation and Implications of Soci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ssu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23~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그림책 속 ‘부엌’이 단순한 조리 공간을 넘어 사회적․환경적․생태적 의미를 담는 상징적 장소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발간된 부엌을 주제로 한 그림책들을 선정하여, 주제 분석과 서사 분석을 통해 그 속에 드러난 문제와 함의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은 빈곤과 식생활의 불균형, 생태계 파괴, 공동체 해체 등의 문제를 암시적으로 드러내고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부엌을 ‘생명 유지와 공존의 상징’, ‘삶의 인과를 인식하는 공간’, ‘돌봄과 정성을 회복하는 장소’로 재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성이 담긴 공간으로의 회복, 생태적 감수성 함양, 그리고 사회적 연대를 실천하는 서사의 측면에서 부엌 동화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림책이 유아에게 사회적 연대와 생태적 책임을 내면화할 수 있게 하는 의미를 지님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itchen in contemporary picture books is represented as a symbolic place that goes beyond a mere cooking space to embody soci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anings. For this purpose, recently published picture books featuring kitchens were selected, and thematic and nar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embedded in th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icture books implicitly reflected issues such as poverty and dietary imbalance, ecological destruction, and the breakdown of community, while commonly representing the kitchen as ‘a symbol of sustaining life and coexistence,’ ‘a space for recognizing causal relations of life,’ and ‘a place for restoring care and sincerity.’ Based on these findings, kitchen-themed picture books were discussed in terms of narratives that highlight the recovery of sincerity in everyday spaces,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responsibility, and the practice of social solidarity. This study suggests that picture books, by shaping literary representations of soci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issues, also carry implications for internalizing ethical and communal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 문화 다양성 역량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3년 연임담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 진성 리더십 원장과 근무하는 MZ세대 보육교사의 경험 연구
-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 5세 유아의 태블릿 PC 활용 놀이경험 탐색
- 이오덕의 ‘일하는 아이들’ 담론 연구: 1974년, 1998년의 ‘두 가지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