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iteracy Scale (SDGs: LS): Focusing on Fathers of the MZ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서소정 유 란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269~2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를 개발하고, MZ세대 아버지를 대상으로 해당 척도의 예비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총 3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39개 문항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MZ세대 아버지 158명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R을 활용해 난이도․변별도 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점이연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SDGs: LS의 지식은 ‘인권과 친환경소비’,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사회참여’ 3개 하위요인 총 17문항이, 실천은 ‘가치실천’, ‘가치선택’, ‘가치지향’으로 명명된 3개 하위요인 총 12문항이 도출되었다. 전체 신뢰도 .86, 하위요인 .71∼.76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수준에 따라 상․하위 27% 집단을 구분한 뒤, 실천과 점이연 상관분석(Point-Biserial Correlation) 결과, 가치지향을 제외하고 가치선택(r=.43, p<.001), 가치실천(r=.39, p<.01), 전체실천(r=.38, p<.01) 간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측타당도 검증 차원에서 SDGs: LS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인 지식(SDGs-K)은 실천(SDGs-A)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54, p<.01). 이러한 주요 연구결과는 최근 가정 내 자녀 양육의 주체인 MZ세대 아버지를 대상으로 SDGs 지식 기반 실천중심 부모교육 실제에 유의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iteracy Scale (SDGs: LS) and examine its preliminary validity among MZ generation fathers. A total of 39 items were constructed through three rounds of content validity testing, and survey data from 158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R. Analyses included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liability testing, point-biserial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knowledge dimension consisted of three subfactors—Human Rights and Eco-friendly Consumption, Sustainable Resource Circul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with 17 items, while the practice dimension comprised three subfactors—Value Implementation, Value Choice, and Value Orientation—with 12 items. The overall reliability was .86, with subfactor reliabilities ranging from .71 to .76.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except for value orientation. Predictive, validity analysis confirmed that knowledge positively influenced practice (t=3.54, p<.01).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preliminary validity of the SDGs: LS and highlight its potential as a foundational tool for developing knowledge-based, practice-orien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MZ generation fa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 문화 다양성 역량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3년 연임담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 진성 리더십 원장과 근무하는 MZ세대 보육교사의 경험 연구
-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 5세 유아의 태블릿 PC 활용 놀이경험 탐색
- 이오덕의 ‘일하는 아이들’ 담론 연구: 1974년, 1998년의 ‘두 가지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