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ading Signs in Picture Books: A Deleuzian Semiotic Analysi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소희 이연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속에서 장애아동과 기호의 마주침으로 생성되는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기호학적으로 분석 가능한 그림책 4권을 선정하여 Deleuze가 제시한 기호유형(사교계의 기호, 사랑의 기호, 감각적 기호, 예술적 기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 속 장애아동 자신의 의미를 생성하지 못하는 사교계의 기호와 감각적 기호와의 마주침 이면에는 장애아동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에게 사랑의 기호를 내뿜는 부모나 교사와 같은 어른들은 그들이 예술적 기호와 마주침의 공간에 배치되는 데 관여하고 있었다. 예술적 기호는 장애아동에 대한 후-기표작용적 기호계를 이루는 것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장애아동은 잠재성을 가진 다양체로서 차이생성을 반복하는 ‘새로운 아동-되기’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이 장애에 놓이지 않는 적절한 배치가 무엇인지 논의하고, 장애아동을 둘러싼 교육 현장에서 그들을 장애에 고정하지 않고 열린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generated through encounter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igns in picture books. To this end, four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Deleuze’s typology of signs(signs of the social world, signs of love, sensory signs, and artistic signs). The results revealed that behind the encounters with signs of the social world and sensory signs—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iled to generate their own meanings—there operated a dichotomous perception of disability. Adults such as parents and teachers, who emitted signs of love toward these children, were found to play a role in placing them within spaces where encounters with artistic signs could occur. Artistic signs we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 post-signifying regime of signs concern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is proces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interpreted as embodying the meaning of a ‘new becoming-child’, continuously generating differences as multiplicité with potentia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discuss what constitutes appropriate place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mply the importance of viewing them not as fixed in their disabilities but through an open and generat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희,이연우. (2025).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 (3), 43-68

MLA

김소희,이연우.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3(2025):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