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f the Influence of Literary Symbols and Metaphoric Projections on the Integrative Experience of an Artist Involved in Art Exhibition Planning and Participating in the Transition Period, Drawing on Peter H. Reynolds' Picture Book “The Do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 서소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 미술치료, 미술교육, 아동학 등 연구자가 전공을 전이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고민해온 미술과 예술의 경계와 차이를 내러티브적 성찰방법과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예술경험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창의예술융합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문학적 사고의 생산 원리인 ‘은유적 투사’ 중심에 두고 그림책『점』으로 발현된 예술작품과 John Bradshaw의 ‘내면아이’ 이론을 적용한 융합형 예술전시를 기획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기획자·작가·도슨트로 참여한 전시 기록과 관람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탐구하였다. 창의예술융합전시의 통합적 경험을 통해 미술교육과 예술경험의 사회적 맥락 으로서 개인의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매개가 필요함을 도출하였으며, 그림책을 매개로 한 예술경험이 일상과 교육에서 예술기반 연구방법(Art-based Research Method)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그림책과 독자 사이에 존재하는 은유적 관계를 통해 개인의 주관적 경험인 기억과 정서를 융합시키는 예술경험으로서의 문학이 가지는 창조적 가치를 재조명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창의예술융합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boundaries and differences between art, a field that researchers have consistently explored as they transition between disciplines such as art, art therapy, art education, and child studies. This approach seek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artistic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reflection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This approach aims to explore new directions for Converged in Arts & Creativ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metaphorical projection,” a productive principle of literary thought. The exhibition, which featured artworks expressed through the picture book “The Dot,” and applied John Bradshaw's “Inner Child” theory, was designed as a convergence art exhib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exhibition's history, in which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s a curator, artist, and docent, as well as audience interviews. Through the integrated experience of the creative arts convergence exhibition,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need for a medium that reflects individual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context of art education and artistic experience. Moreover, the study suggested that art experiences mediated by picture books could be utilized as an art-based research method in everyday life and education. Moreo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e-examines the creative value of literature as an artistic experience that fuses memories and emotions, which are subjective experiences of individuals, through the metaphorical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picture books and readers, and suggests new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for Converged in Arts &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 문화 다양성 역량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3년 연임담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 진성 리더십 원장과 근무하는 MZ세대 보육교사의 경험 연구
-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 5세 유아의 태블릿 PC 활용 놀이경험 탐색
- 이오덕의 ‘일하는 아이들’ 담론 연구: 1974년, 1998년의 ‘두 가지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