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or Mot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AHP Method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구민 고준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123~1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의 실질적인 개발 및 선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15명과 유아교사 15명 등 총 30명을 대상으로, AHP를 활용하여 유아 그림책 선정 기준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계층은 유아 그림책 선정기준으로 ‘내용성’을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내구성’, ‘조화성’, ‘흥미성’, ‘대중성’ 순으로 나타났다. 2계층은 ‘내용의 지식’을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내용의 재미’와 ‘종이의 질’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교사 간 인식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으나, 어머니는 ‘도덕적 교훈’을, 교사는 ‘실생활 연계’와 ‘그림의 매력’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평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그림책이 내용적 충실성, 흥미 유발, 물리적 견고함 등의 다각적인 요소를 고르게 갖춰야 함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림책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미세한 관점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만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esent pract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To this end, a total of 30 participants, including 15 mothers and 15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first-level hierarchy, “content”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durability,” “harmony,” “interest,” and “popularity.” At the second level, “knowledge of content” was rat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llowed by “interest in content” and “quality of paper.” Although the perceptions of mothers and teachers were generally similar, mothers considered “moral lessons” relatively more important, whereas teachers placed greater emphasis on “practical relevance” and “attractiveness of illustr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should strike a balance among various elements, including content quality, engagement, and physical durability. In addition, th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providing tailored information that reflects the subtl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이오덕의‘일하는 아이들’ 담론 연구: 1974년, 1998년의‘두 가지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 문화 다양성 역량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3년 연임담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 진성 리더십 원장과 근무하는 MZ세대 보육교사의 경험 연구
-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 5세 유아의 태블릿 PC 활용 놀이경험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