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Keyword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hines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Chinese Academic Journal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진 몽 배율미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101~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중국 유아 그림책 관련 선행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 주제 간 관계 구조와 하위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중국 학술정보 플랫폼 CNKI에 수록된 유아 그림책 관련 학술지 논문 185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총 41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 정제 과정을 거쳐 최종 244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정제된 키워드는 SPSS 26.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동시 출현 빈도가 2회 이상인 상위 112개 키워드를 대상으로 UCINET 6을 이용한 중심성 분석, Gephi 0.10.1 프로그램으로 전체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과 커뮤니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 유아 그림책 관련 연구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핵심 키워드는 ‘그림책’, ‘유아’, ‘그림책읽기’, ‘유아교육’, ‘그림책수업’, ‘교수전략’, ‘정서’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성 분석에서는 ‘그림책’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모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그 외 ‘유아’, ‘그림책읽기’, ‘유아교육’ 등이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중국 유아 그림책 관련 연구의 하위 구조는 총 5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의 구조적 특성과 핵심 주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중 유아문학 관련 비교연구를 수행하는데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revious research on Chines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 analyze the relational structure and substructures among research topics. For this purpose, 185 academic journal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picture books published between 2021 and 2025 and indexed in CNKI, a Chinese academic information platform,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total of 416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articles, and after a refinement process, 244 keywords were selected. A frequency analysis of the refined keyword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while centralit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UCINET 6. Additionally, overall network visualization and community analysis of the top 112 keywords (those co-occurring at least twice) were carried out using Gephi 0.1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core keywords in research on Chinese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picture book’, ‘young children’, ‘picture book rea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icture book class’, ‘teaching strategies’, and ‘emotion’. Second, in the centrality analysis, ‘picture book’ had the highest values in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In addition, ‘young children’, ‘picture book reading’,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played central roles. Third, the community analysis revealed a total of five substructures within the research on Chinese children’s picture book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ore themes of research on Chines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 몽,배율미. (2025).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 (3), 101-122

MLA

진 몽,배율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3(2025): 101-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