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윤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3호, 193~2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교사역량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 경기 및 충청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순차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교사역량 및 창의적 인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울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창의적 인성, 자아탄력성 및 교사역량 간에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있었고, 자아탄력성과 교사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발달의 과정에서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그리고 교사역량은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하여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그리고 교사역량을 포함한 예비유아교사 창의 인성의 다양한 관련 변인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teaching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reative personality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23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angwon,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of South Korea.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AMOS statistical software. The data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pathy, ego-resilience, teaching competency, and creative personality. Furthermore, empath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personality, and both ego-resilience and teaching competency were confirmed as mediating variables in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pathy, ego-resilience, and teaching competenc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to various relate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그림책 속 장애아동의 기호 읽기 -Deleuze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국 유아 그림책 연구동향 분석: 중국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HP기법을 활용한 어머니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Peter H. Reynolds의 그림책『점』을 모티브로 문학의 상징과 은유적 투사가 전공 전이시기 예술전시 기획 및 참여 작가로서의 통합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수용성, 문화 다양성 역량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관련 변인 분석
- 어린이집 교사의 3년 연임담임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목표 문해력 척도(SDGs: LS) 예비타당화 연구: MZ세대 아버지 중심으로
- 진성 리더십 원장과 근무하는 MZ세대 보육교사의 경험 연구
- 2세 영아의 숲 산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연구
- 5세 유아의 태블릿 PC 활용 놀이경험 탐색
- 이오덕의 ‘일하는 아이들’ 담론 연구: 1974년, 1998년의 ‘두 가지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육(교과-비교과) 통합 성과관리 및 환류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그림책 속 부엌: 사회․환경․생태적 문제의 재현과 의미
- 교사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전략이 만 2세 영아의 언어발달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