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이용수  54

영문명
Development of a Multimodal AI-Based Art Interpretation Courseware: Focused on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최유리 유진 주경 오효정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171~2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능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교육환경에서는 학습자의 주도적 감상과 해석을 지원하는 디지털 학습 도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여 이미지 분석과 텍스트 생성을 결합한 멀티모달 설명 생성(I2T, Image-to-Text)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학교 미술 교과과정에 적합한 미술 해석 코스웨어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미술 사조 분류, 핵심 키워드 추출, 설명문 자동 생성을 통해 학습자의 감상 활동을 지원하며, 감상 중심의 자기주도 학습을 유도한다. 분석 절차는 텍스트 분석, 이미지 분석, 통합 분석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교과서 자료와 미술관 아카이브 이미지 등 다양한 교육 자료가 활용되었다. 개발된 코스웨어는 미술 교사 및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정성적·정량적 평가를 통해 교육적 효과성과 실용성을 검증받았다. 그 결과, 수업 연계 가능성과 확장성이 높은 학습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술교육에 실질적인 기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설계를 통해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실증적 사례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rapid advance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digital learning tools that support learners’ autonomous appreciation and interpretation in art education. In response to this educational need, this study developed a multimodal explanation generation model (Image-to-Text, I2T) that combines image analysis and text generation, and designed art appreciation courseware aligned with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The proposed system supports students’ appreciation activities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art movements, extracting key keywords, and generating explanatory texts, thereby promoting self-directed, appreciation-centered learning. The analysis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text analysis, image analysis, and integrated analysis—and utilizes a variety of educational resources, including textbook materials and museum archive images. The courseware was evaluated throug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y art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confirming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practical usabilit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ystem holds strong potential for classroom integration and scalability, offering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art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case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based learning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AI 멀티모달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Ⅳ.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및 구현
Ⅴ. 미술 해설 코스웨어 검증 및 평가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유리,유진,주경,오효정. (2025).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 (3), 171-200

MLA

최유리,유진,주경,오효정.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20.3(2025): 17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