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이용수 144
- 영문명
- Analysis Effectiveness of Socio-Cultural Competencies in Special Education -Constructing Competenc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숙 이준용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201~2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고프먼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이론 틀로 삼아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인 교사 간에 일어나는 미시적 상호작용을 조명하고, 그 안에 잠재된 사회문화적 역량을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년 이상 특수학교에서 근속하며 문화예술 교육을 담당해 온 교사 5인을 심층면담하고, 엄밀한 질적 분석을 적용하여 5개의 중심 의미와 15개의 주제를 추출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문화적 역량 모형은 역량이 (1) 장애아동의 행동(R), (2) 사회·교육(S), (3) 표현·연결(X)이 그려내는 삼각형 모형 속에서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역동적으로 구성되는 관계적인 것임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장애아동, 교사, 비인간 매개체가 상호작용하며 역량을 공동 구성하는 교육 현장을, 고정된 전달 체계가 아니라 다층적 행위자들이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협력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동적 네트워크로 재정의한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사회문화적 역량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이 연구는 장애에 대한 낙인을 완화하고 교육 현장과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을 이끌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raws on Latour’s actor-network theory (ANT) and Goffman’s symbolic interactionism to examine the micro-leve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ontexts, with the aim of uncovering the latent socio-cultural competencies through a phenomenological le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ducators who have devoted over two decades to cultural arts instruction in special schools, and a rigorous qualitative analysis yielded five core meanings and fifteen thematically grouped findings. The proposed socio-cultural competencies model underscores the dynamic and relational nature of competencies, conceptualized via a triangular framework wherein the child’s behavior (R), the socio-educational domain (S), and the expressive/connecting mediator (X) mutually reinforce one another.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educational setting as a dynamic network in whi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achers, and nonhuman mediators interact to co-construct competence. Rather than viewing special education as a fixed delivery system, the study emphasizes its nature as a process in which multiple layers of actors exchange feedback and collaboratively build an infrastructure for cooperation. Building on this perspective, the study proposes a sociocultural competence model applicable to special education, offer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ducing stigma related to disability and promoting a broader shift in perception across both educational contexts and society as a whole.
목차
Ⅰ. 서론
Ⅱ. 사회문화적 역량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