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A Content Analysis of Music Autobiographies Through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Elderly Participant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보은 권소희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23~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지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자서전 과정이 노인의 자기성찰과 어떻게 연결되며 자아정체성과 감정표현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 9명의 연구참여자들은 생애를 회상하며 주제와 연대기에 따라 상징하는 음악을 창작 또는 선곡하는 방식으로 음악 자서전 과정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이 기록한 자서전 원고, 악보, 감정표현 자료를 분석 단위로 삼아 주요 삶의 주제, 감정 변화, 관계의 재구성 과정을 범주화하여 코딩하고 분석하여 삶의 의미와 변화를 발견했다. 연구 결과, 음악은 기억을 감정적으로 환기하고 자기 수용을 촉진하는 정서적 매개로 작용하였다. 또한, 감정표현의 확장, 타인과의 소통, 사회적 소속감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음악 자서전 활동은 삶의 흐름을 재구조화하고 자아의 연속성을 인식하게 하며, 노년기 심리적 통합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 문화예술교육이 자아 성찰과 공동체 회복의 통로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다양한 배경의 참여자를 포함한 종단적 연구와 다른 예술 장르와 융합된 자서전 프로그램의 확장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a music autobiography program fosters self-reflection in older adults and influences changes in self-identity and emotional expression. Nine elderly participants recalled their life stories and selected or composed music that represented each life stage, organizing their narratives thematically and chronologically.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study examined participants’ autobiographical texts, musical scores, and emotional records.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into key life themes, emotional shifts, and relationship dynamics to uncover personal meaning and transformation. Findings reveal that music acted as an emotional catalyst, evoking memories and promoting self-acceptance. It also supported emotional expressi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recovery of social connectedness. Through this process, participants reconstructed their life narratives and recognized a sense of self-continuity, contributing to psychological integration in later life. The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music-based arts education as a meaningful tool for self-reflection and community restoration among the elderly. It suggests the need for longitudinal research with more diverse participants and the development of autobiography programs integrating other arts form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