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48
- 영문명
- A case study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mainly through Korean classical music in culturally underprivileged areas: focusing on Nanta performance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주만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문화예술교육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도시에 집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농어촌과 도서 지역 등 문화예술을 누릴 기회가 적은 지역 내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접근성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 문화소외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운영사례를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탐색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난타 연주활동을 활용한 국악교육 프로그램 사례로 학습 대상은 초등 3~4학년군이며, 총 15차시의 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음악적 경험이 없는 학생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말리듬과 구음을 활용한 단계적인 학습을 적용하였고, 공동체 경험을 토대로 일상생활 속 음악적 관심과 생활화를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프로그램의 운영 결과로 나타난 의미로는 작은 학교에서의 예술꽃 피우기, 협동심 및 공동체 의식 형성, 음악적 능력 및 예술적 감수성 향상, 의사소통 역량 신장,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in Korea currently focuses on big cities in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Among the disadvantaged in areas wher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art are insufficient such as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nd island areas, the accessibility to cultural activity is hindered.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develop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mainly through Korean classical music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ulturally underprivileged farming and fishing areas and to explore actual cases based on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e theme of this program is an actual case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program through nanta performance activity. The target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third and fourth grades. The curriculum consists of 15 units. The developed program features the learning stages that utilize the speech rhythm and articulation that help students with no musical experience easily participate. The focus was on promoting musical interests and habitualization in daily life based on community experiences. Significances of this program operation included the blooming of art at small schools, development of teamwork and community spirit, improvement of musical ability, artistic sensibi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promotion of local cultur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