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이용수 58
- 영문명
- Masterclass in Applied Music and Acoustics Calc Running Research - Focusing on short-form content creation -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에스더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K대학교 A학과에서 운영된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에서 학생들이 유튜브 쇼츠(YouTube Shorts) 형식의 숏폼 콘텐츠를 제작하고 최종 상영회를 수행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4년 2학기, 총 16주간 운영된 본 수업은 연구자가 설계한 5단계 수업모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수업계획안은 주차별 학습목표와 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체계화되었다. 수업에는 총 16명의 수강생이 참여하였고, 이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콘텐츠 기획 및 제작(촬영, 편집, 피드백), 상영에 이르는 작품 제작의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주도성, 창의성, 진로 인식과 계획의 명확성 등 실천적 학습역량을 통합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숏폼 콘텐츠 제작 경험이 학습자의 전공기반 핵심역량 강화는 물론, 디지털 콘텐츠 기반의 실용예술 분야 실무교육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실용음악음향전공 및 관련 교육과정에서 숏폼 콘텐츠를 교수‧학습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 및 실천적 수업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ies by focusing on a case where students produced short-form content in the form of YouTube Shorts and held a final screening in a master class for the practical music and acoustics major operated in Department A of K University, a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This course, which was run for a total of 16 week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4, was conducted according to a five-step class model designed by the researcher, and the lesson plan was systematized around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y contents for each week. A total of 16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ree of them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Participating students took the lead in the entire process of producing a work, from content planning, filming, editing, feedback, and screening, and through this, had the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develop practical learning capabilities such as self-initiative, creativity, career awareness, and clarity of planning. This case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experience of producing short-form content can be expanded into practical education in the field of digital content-based practical arts as well as strengthening learners’ major-based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class design that aims to utilize short-form content as a teaching/learning tool in practical music and acoustics majors and related courses in the fu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숏폼 콘텐츠 제작 활동 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