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이용수 48
- 영문명
- Exploring the Value of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within Human-Centered Learning in the Paradigm of Education 5.0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설연경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143~1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 교육 담론으로 부상한 Education 5.0의 철학적 배경과 핵심 가치에 주목하여, 인간 중심 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서 미적 경험 기반 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Education 5.0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 통합을 기반으로 하되, Society 5.0이 지향하는 인간 중심성, 웰빙, 사회정서학습(SEL), 지속가능성과 같은 포괄적 가치를 중심에 두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추구하는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적 경험이 지닌 세 가지 측면(인지적, 정서적, 실천적)과 그 내·외적 가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의 틀을 기반으로 디지털 기반의 국내외 예술교육 사례들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인간중심의 핵심가치와의 교육적 탐접점을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미적 경험은 단순한 예술 감상을 넘어 감성과 윤리, 표현과 성찰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학습 경험으로 기능하며, 기술 중심 사회에서 인간성과 공동체적 가치를 회복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매개로서 가치가 있으며, Education 5.0의 실천적 구현을 위한 의미 있는 대안임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esthetic experience-based learning as a potential approach to realizing human-centered education within the emerging paradigm of Education 5.0. While Education 5.0 presupposes the integr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it also aligns with the goals of Society 5.0 by emphasizing core values such as human-centerednes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ty engagement, and sustainability.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ognitive, emotional, and practical dimensions of aesthetic experience, along with a review of digital art-based instructional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aesthetic experience can function not merely as a tool for art education but as a pedagogical medium that integrates emotion, ethics, expression, and reflection. In doing so, the study proposes the potential of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as a humanizing and community-oriented educational approach in an increasingly technology-drive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Education 5.0 담론 속 인간 중심 교육과 미적 경험 기반 교육의 교차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