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Somatic Expressive Arts Therapy-Based Narrative inquiry of an Actress's Life and Body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은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111~1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 여배우의 소매틱 표현예술치유에 기반한 삶과 몸 경험에 관해 탐구하고, 그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가 삶에서 여배우로서 살아낸 몸 경험과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경험의 이야기를 내러티브로 구성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퍼즐은 연구 참여자의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경험은 여배우로서 어떤 삶의 이야기와 몸 경험 내러티브 및 의미를 구성하는가? 이다. 탐구의 결과로 본 참여자가 살아낸 내러티브의 의미는 첫째, 대문자 K-장녀로서의 삶을 살다. 둘째, 지금 내 몸 안에 있는 그 무대, 그 분장실, 그 연습실. 셋째, 무너짐을 허용하니 살아나는 척추와 나. 넷째, 연민은 자기 연결의 열쇠, 소마가 옳다는 것을 따르기. 본 연구를 통해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예술가로 살아가는 여성들이 겪는 신체적·정서적 갈등과 치유 과정을 조명하는 데 기여하여 그들의 예술적 고민과 삶의 역사를 이해하고, 나아가 자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비전과 치유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fe and body experiences of an actress based on somatic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s and to construct their meaning. To this end, the research participant composed narratives of her experiences living as actresses in her life and her experiences with somatic expressive arts therapy, and her meanings were derived. The puzzle of the study is: What kind of life story, body experience narrative, and meaning do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omatic expressive arts therapy experience constitute as an actress?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lived by the participant as a result of the inquiry is, first, living life as the eldest daughter with a capital K. Second, the stage, the dressing room, the practice room that is inside my body right now. Third, I allow myself to collapse, so that my spine and I can survive. Fourth, compassion is the key to self-connection, following what soma says is right.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the life and soma experiences of an actress will contribute to shedding light on the physical and emotional conflicts and healing processes experienced by women living as artists, thereby helping to understand their artistic struggles and life histories, and furthermore, suggesting a vision and healing direction that can function as a resource.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