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 of Culture Art Education in Korea Exploring Directions for Music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Enjoyment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수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20권 제3호, 87~1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계 및 문화예술 영역에서 향유를 탐색하고 그 기능을 검토한 다음 이를 근거로 음악교육의 거시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향유 개념을 규정하고 윤리 및 도덕, 심리학에서 향유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검토한 다음 자료를 종합하였다. 분석 결과, 윤리, 도덕 영역에서는 향유를 직면한 문제 해결의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문화향유에서는 과거 형성된 관습적 도구성의 체험에 문화적 타자성이 있었다. 예술향유에서는 참여의 형식이 변화되어 향유 형태를 새롭게 개발하는 가운데 참여자 메시지가 통합되어 예술적 시민성이 형성되었다. 종합한 결과 첫째, 음악교육은 음악향유의 매개성이 교육적 상황에서 드러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하며, 음악 활동에서 드러나는 사물과 ‘나’의 관계에서 타자성을 학습할 수 있게 도와야 하며, 참여적 활동에서 향유의 가치를 스스로 찾게 해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예술가와 학습자의 작품을 향유의 관계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함께 만들고 함께 공연할 수 있는 참여의 넓고 깊은 차원으로 이끌어야 음악교육은 성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njoyment and its functions in academic and cultural fields. It then proposes broader directions for music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used content analysis.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enjoyment in philosophy, examined its application in morality and psychology, and subsequently synthesized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reas of morality, enjoyment was used as a medium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culture enjoyment, cultural otherness emerged from the experience of past conventional instrumentality. In enjoyment art, the form of participation has evolved, and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enjoyment has fostered artistic citizenship. Summary, music education should first consider how the mediation of music enjoyment can be manifested in educational settings, foster an understanding of otherness within the subject-object relationship revealed through musical activities, and enable students to independently discover the value of enjoyment through participatory activities.
목차
Ⅰ. 들어가며
II. : 향유 학제적 접근
III. 문화예술 영역에서 향유
IV. 향유 지향적 음악교육 방향 탐색
Ⅵ. 나가며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용음악음향전공 마스터클래스 수업 실행연구 - 숏폼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 문화예술에서 향유의 영역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 방향 탐색
- 복지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음악 자서전 내용분석 연구
- KCI 등재 한 여배우의 삶과 몸 경험에 관한 소매틱 표현예술치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문화소외지역 국악 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난타 연주활동을 중심으로
- 칼슨(Karlsen)의 음악적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및 초등 음악교육적 함의
- 미래 교육 패러다임 담론 속 Education 5.0 인간 중심 학습에서의 미적경험기반 교육 가치 탐색
- 멀티모달 AI 기반 미술 해설 코스웨어 개발 : 중등 미술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재 특수교육에서 사회문화적 역량의 효용성에 대한 제분석 -장애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역량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