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a YouTube-Based Art Therapy Program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설영원 오미영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2호, 103~12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J지역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는 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유튜브 기반 집단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집단 프로그램에 대한 개인별 심리・생리 반응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총 9명으로, 10회기 동안 음악 활동, 낭독과 쓰기, 그림 그리기 등의 예술활동이 포함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효과 분석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자기보고형 심리 지표와 PPG 기반 생리 지표를 사전・사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집단 전체적으로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감 감소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인지 및 정서 기능 회복에 일정 수준의 긍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동일한 프로그램을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별 반응은 인지적, 정서적, 생리적 측면에서 다양하고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일부 참여자는 인지 기능과 정서 상태가 호전되었음에도 생리 지표에서는 반응이 미약하거나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고, 반대로 생리 지표의 개선이 두드러졌음에도 심리적 자각이 부족한 경우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술치료 효과가 개인별 특성과 수용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집단 중심 분석을 넘어서, 개인별 변화와 반응의 다양성에 주목하는 접근의 타당성을 제시하며, 향후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방법의 다변화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individual participants following a YouTube-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lemented for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t a day care center in region J. A total of nine participants engaged in a ten-session program that incorporated various artistic activities, including rhythm-based music, reading aloud, writing, and dra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was assessed using self-report psychological measure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PPG-based physiological indicators,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t the group level, improvements in cognitive function and a decreasing trend in depression were observed, suggesting that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covery. However, despite receiving the same intervention, participants showed heterogeneous patterns of response in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ological domains. While some participants exhibited notable improvements in psychological indicators, their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minimal or even negative. Conversely, some individuals showed physiological improvements without corresponding subjective emotional chan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effects of art-based interventions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sponse tendenc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person-centered approach when evaluating the effects of art therapy and proposes the need for develop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designs and diversified assessment strategies in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영원,오미영. (2025).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21 (2), 103-123

MLA

설영원,오미영.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21.2(2025): 103-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