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자 대상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 : 2001-2024년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Trends in Art Therapy Research for Mothers and Children in Korea : A Review of Domestic Studies from 2001 to 2024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오연서 박은선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2호, 5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모-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임상 적용을 위한 기초 정보와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학술지논문 30편과 석・박사학위논문 44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내용별로 분류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도별 연구 동향을 보면, 2001년 학위논문 발표 이후 편수는 적지만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에서는 진단적 문제 모-자보다 일반적 문제 모-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많았다. 셋째, 연구 방법 분석 결과, 학술지논문에서는 사례연구, 학위논문에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결과는 혼합분석 방식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검사 도구는 투사적 도구보다 객관적 도구가 더 많이 활용되었다. 넷째, 연구내용 분석에서는 모-자 단일 사례 연구가 가장 많았고, 치료 목표는 대인관계 향상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회기 구성에서는 학술지논문이 주 1회 30∼60분씩 총 10∼15회기, 학위논문이 주 1회 30∼60분씩 총 16∼20회기로 진행된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모-자 대상 미술치료 연구에서 연구유형과 연구 형태의 다양성을 확대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or mother-child dyads in South Korea an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30 journal articles and 44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1 to 2024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content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remains small, research has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the first dissertation in 2001. Second, studies on general mother-child issues were more common than those addressing diagnostic problems. Third, case studies were most frequent in journal articles, while experimental studies dominated dissertations. Mixed-method analysis was the most widely used approach, and objective assessment tools were more frequently employed than projective measures. Fourth, single-cas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with a primary focus o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apy was typically conducted once a week for 30 to 60 minutes per session over 10 to 15 sessions in journal articles and 16 to 20 sessions in disser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iversify research types and methodologies in future mother-child art therapy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모-자 대상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 : 2001-2024년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분노와 우울을 중심으로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