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ombined with Structured Life Review Technique o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최진영 황은영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2호, 29~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4명이다. 각 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는 1회기 당 50분, 총 8회기의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은 관련 중재를 시행하지 않았다. 이후 각 집단에 동일하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노화불안은 Lasher와 Faulkender(1993)가 개발하고 김욱(2010)이 번역한 Anxiety about Aging Scale(AAS)을 사용하였고, 심리적안녕감은 Ryff(1989)가 개발한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을 장혜진(2015)이 재구성한 척도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실험집단의 노화불안 사전-사후 점수는 감소되었으며 통제집단과 사후 점수 비교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심리적안녕감 사전-사후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통제집단과의 사후 점수 비교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년기 삶의 질 향상과 성공적 노화를 돕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인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을 위한 후속 연구와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ombined with structured life review technique o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who used senior welfare center, 1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the pre-test for each group,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ombined with the structured life review technique for 50 minutes per session, 8 sess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ward, each group was subjected to the same post-test. To measure aging anxiety,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AAS) developed by Lasher and Faulkender(1993) and translated by Kim Wook(2010) was used, and the scale reconstructed by Jang Hye-Jin(2015) was used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developed by Ryff(1989)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 aging anxiety scor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post 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 score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post 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combined with a structured life review technique,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moting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영,황은영. (2025).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1 (2), 29-50

MLA

최진영,황은영.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1.2(2025): 29-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