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분노와 우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n Immigrant Woman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 Focusing on Anger and Depression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김지민 류정미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2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분노와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이 운영하는 주거 공간에 거주 중인 34세 캄보디아 여성으로, 2024년 3월 16일부터 5월 18일까지 주 2회, 총 18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회기 전・후에 실시하였고, 추수 검사는 사후 약 2개월 후에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우울 척도(BDI), 문장완성검사(SCT), 그림이야기법(DAS), 빗속의 사람 검사(PITR)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내용을 녹취 및 관찰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분노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우울 변화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 및 단계별 질적 분석을 통해 대상자가 억압된 감정을 인식 및 표출, 통찰을 경험하는 과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심리‧정서 회복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향후 이들을 위한 맞춤형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nger and depression in an immigrant woman who had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he participant, a 34-year-old Cambodian woman, resid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perated by a domestic violence shelter in G City.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weekly, totaling 18 sessions between March 16 and May 18, 2024. Pre-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with a follow-up two months later.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 (STAXI-K),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entence Completion Test (SCT), Draw-a-Story (DAS), and Person in the Rain Test (PITR). Session transcripts and observat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facilitated positiv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anger. Second, it contributed to improvements in her depressive symptoms. Third, a qualitative analysis by session and stage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 went through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and gaining therapeutic insigh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 can be effective in suppor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recovery in im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민,류정미. (2025).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분노와 우울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21 (2), 1-28

MLA

김지민,류정미.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분노와 우울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21.2(202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