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및 교육 경험의 영향

이용수  70

영문명
The effect of the school's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박미희 남신동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349~38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디지털 교육 전환 정책의 도입에 따라 학교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교육 경험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과 학생의 디지털 교육 경험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를 완화시키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OECD PISA 2022 자료의 고등학교 데이터를 활용하여 2수준 위계적 선형 모형(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은 학생의 읽기와 수학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은 디지털리터러시와도 일정 부분 관계하여 읽기와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었다.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의 질적 수준과 디지털 자원을 활용한 교수학습 경험은 가정배경과 독립적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디지털교육 환경과 교육 경험은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를 완화시키지는 못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교육적 조건들과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igital educational experi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within the context of their growing prevalence driven by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in education. It also examined whether these digital-related factors moderate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students' academic outcom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OECD PISA 2022 using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ESCS) remained a significant predictor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SCS were also partially associated with digital literacy, which in turn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quality of the school's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extent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digital resource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academic outcomes, regardless of family background. However, these digital-related school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achievement disparities attributed to family backgrou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educational conditions and tasks necessary to effectively reduce achievement gaps.

목차

I.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희,남신동. (2025).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및 교육 경험의 영향. 교육학연구, 63 (2), 349-381

MLA

박미희,남신동.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및 교육 경험의 영향." 교육학연구, 63.2(2025): 349-3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