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의 수학동기의 종단적 변화의 이질적 양상: 마인드셋과 수학효능감의 예측효과와 자기조절학습과 수학성적의 차이
이용수 44
- 영문명
- Heterogeneous Trajectories of Math Motivation among Students Below Minimum Achievement Level: Predictive Effects of Mindset and Math Efficacy and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서 기초학력미달이라는 학업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학동기가 향상되는 동기탄력성 학생들이 있는지, 이들을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수학동기의 변화에 따라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적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1에서 고2까지 수학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의 수학동기의 종단적 변화의 이질적 양상에 따라 잠재집단을 분류한 결과, 고-증가형, 중-증가형, 고-감소형, 중-감소형, 저-감소형의 5개 하위집단이 도출되었다.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부분 수학동기가 감소하였지만, 약 30%의 학생들은 수학동기가 오히려 증가하였다.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일수록 다른 네 집단에 비해 고-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수학효능감이 높을수록 저-감소형보다 중-감소형에, 중-감소형보다 중-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다른 세 집단에 비해 고-감소형과 고-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수학동기의 변화 양상에 따라 구분된 다섯 집단 간에 자기조절학습과 수학성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1에서 모든 집단 간 수학성적의 차이가 없었지만, 수학동기 증가형 두 집단에서 수학성적과 자기조절학습이 향상되었으며, 수학동기 감소형의 세 집단에서 수학성적과 자기조절학습이 감소함으로써 수학동기의 변화에 따라 수학성적 및 자기조절학습도 나란히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기초학력미달에도 불구하고 동기탄력성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을 잘하며 궁극적으로 수학성적이 향상되므로 기초학력미달 학생들, 특히 기초미달학생들 가운데 자기효능감이 낮은 여학생의 동기탄력성을 증진하는데 교육적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udents with motivational resilience whose math motivation increases despite academic difficulties in which math achievement is below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what factors predict this, and whethe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improve as math motivation increases. Five sub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heterogeneous trajectories of math motivation from grades 7 to 11; high-increase, medium-increase, highdecrease, medium-decrease, and low-decrease. Most of the students who did not achieve minimum achievement level decreased their math motivation as a function of increasing grade level, whereas about the 30% increased their math motivation. Compared to girls, boy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increase than the other four groups. Higher math efficacy was associated with a great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medium-decrease than low-decrease, medium-increase than medium-decrease , and high-decrease and high-increase than the other three group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h performance among all groups in grade 7, math performa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improved in the two groups with increased math motivation and decreased in the three groups with decreased math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motivational resilienc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량서지학 분석과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기초학력 연구동향 분석
- 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대학생의 과보호지각과 학교참여의 구조적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의 매개효과 및 성별 차이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초·중등 교사들의 성취기준 인식 양상 연구
-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및 교육 경험의 영향
-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 대상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을 중심으로
- ‘장애아비투스’의 발생적 구조와 변화-이행 탐색: 평생교육 장 적응 실패의 숨겨진 회로
- 학부모 참여 의사결정의 중요성 재조명: 교사의 학부모 신뢰를 중심으로
-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적응형 평가로의 전환: 정답률 개념 및 활용에 대한 한계와 대안
- 수학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의 수학동기의 종단적 변화의 이질적 양상: 마인드셋과 수학효능감의 예측효과와 자기조절학습과 수학성적의 차이
- 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탐색: IB CA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학업적 지원에 대한 부모-자녀 인식 차 잠재프로파일: 예측 요인 및 스트레스 차이
-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문화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 작은 학교, 좁은 문: 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가 사라질 때 : 학교 폐쇄와 지역 인구변화의 관계
-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자동 번역 연구: 교육과정을 고려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방법의 효과성 탐색
- 지역 여건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