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이용수  38

영문명
A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ransitional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순구 한천우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175~20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전환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에서 2017년 초4 패널로부터 수집된 자료 중 5차 (2021년) ~ 7차(2023년)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결측값이 있거나 중학교 학교 코드가 다른 경우 등을 제외한 1,451명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교사-학생 관계, 우울, 학업성취도는 다음 시점의 교사-학생 관계, 우울,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둘째, 교사-학생 관계, 우울,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차지연 효과는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은 상호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성취도는 교사-학생관계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성별에 따라 남학생의 경우 교사-학생 관계가 우울과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여학생의 경우 우울이 교사-학생 관계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성취도는 교사-학생 관계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생 관계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울을 조기에 발견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ddle to high school.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utilized, specifically from the 5th (2021) to the 7th (2023) waves of the 2017 cohort of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excluding cases with missing values or discrepancies in middle school codes, a total of 1,451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previous time point positively influenced these same variables at the subsequent time point, with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econd, regarding the cross-lagged effect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negatively influenced each other, while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fluenc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hen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for male student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negatively impacted both de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trast, for female students, depression negatively influenc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hile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fluenc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the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o enhanc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for establishing effective processes to detect and manage depression at an early stag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구,한천우. (2025).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교육학연구, 63 (2), 175-204

MLA

김순구,한천우. "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교육학연구, 63.2(2025): 17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