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문화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이용수 49
- 영문명
-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School Cultu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Verification of Influential Factor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김효은 최혜인 이재덕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293~32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문화를 유사한 응답 패턴끼리 유형화하여 시점별 학교문화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학교문화 잠재프로파일의 전이 양상과 그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1∼3차 (2021∼2023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점별 학교문화 잠재프로파일은 2021년과 2023년 3개(침체형/안정형/활력형 학교문화), 2022년 2개(약화형/강화형 학교문화)로 도출되었다. 둘째, 학교문화 잠재프로파일은 대체로 유사 집단으로 전이되고 있으나 다른 학교문화 집단으로 전이되는 경우도 나타났다. 셋째, 학교문화 잠재프로파일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성별, 교직경력, 부장교사 여부, 학교규모, 업무 스트레스, 교사학습공동체)으로 2021년은 부장교사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2022년은 성별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2023년은 성별, 부장교사 여부, 교사학습공동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문화 잠재프로파일 전이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학습공동체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문화 변화가능성을 목격하고 변화를 동인할 수 있는 요인을 검증하여 효과적인 학교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classify school cultu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o similar response patterns, identify the latent school culture profiles at different time points, and analyze how these profiles change over time and what factors influence such changes. Using data from the 1st to 3rd waves (2021-2023)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Elementary School Teacher (KTLS-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school culture profiles identified at each time point were three (stagnant/stable/vital school culture) in 2021 and 2023, and two (weakened/reinforced school culture) in 2022. Second, while latent school culture profiles generally transitioned into similar groups, transitions to different profiles were also observed. Third,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culture profiles (gender, teaching experience, department head teacher status, school size, job stress,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showed differing significance across years. In 2021, all factors except department head teacher status were significant; in 2022, all factors except gender were significant; and in 2023, gender, department head teacher status,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ransitions among latent school culture profiles, both job stress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potential for change in school culture, and investigated factors that can drive such change, thus offering policy implications to create an effective school cultur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계량서지학 분석과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기초학력 연구동향 분석
- 전환기 청소년의 교사-학생 관계와 우울,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대학생의 과보호지각과 학교참여의 구조적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의 매개효과 및 성별 차이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초·중등 교사들의 성취기준 인식 양상 연구
-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및 교육 경험의 영향
- 평생교육 단과대학 재학생 대상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업적 실패내성과 그릿을 중심으로
- ‘장애아비투스’의 발생적 구조와 변화-이행 탐색: 평생교육 장 적응 실패의 숨겨진 회로
- 학부모 참여 의사결정의 중요성 재조명: 교사의 학부모 신뢰를 중심으로
-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적응형 평가로의 전환: 정답률 개념 및 활용에 대한 한계와 대안
- 수학 기초학력미달 학생들의 수학동기의 종단적 변화의 이질적 양상: 마인드셋과 수학효능감의 예측효과와 자기조절학습과 수학성적의 차이
- 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 탐색: IB CA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학업적 지원에 대한 부모-자녀 인식 차 잠재프로파일: 예측 요인 및 스트레스 차이
-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문화 잠재전이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 작은 학교, 좁은 문: 학교 규모가 상위권 대학 진학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가 사라질 때 : 학교 폐쇄와 지역 인구변화의 관계
-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자동 번역 연구: 교육과정을 고려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방법의 효과성 탐색
- 지역 여건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