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63

영문명
A Systematic Review on the Programs of Reading and Writing Connections for K-12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조성환 오문정 박채린 박용한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73~10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실행한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24년까지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출판된 학술지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 중 50편의 국내 문헌을 선별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준거인 ‘프로그램 접근법’, ‘프로그램 유형’, 그리고 ‘측정 도구의 구성 요인’을 통해 문헌의 전문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초등학생 대상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었으며,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 대상 프로그램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둘째, 접근법 중 공유 지식/인지 이론과 기능 이론 관점의 프로그램이 주로 연구된 것과 달리, 수사적 관계 이론 기반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셋째, 국내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은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특히 가정 연계 프로그램, 내용 문해 프로그램, 보충 문해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적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역동적 리터러시 모형을 기준으로 측정 도구의 문해력 구성 요인을 분류하였고, 학습자의 문해 발달 수준에 따라 어떤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구체적인 현장 적용 방안(중학생과 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수사적 관계 이론 기반 프로그램, 가정 연계 프로그램, 내용 문해 프로그램, 보충 문해 프로그램, 교사 교육 및 지원, 적절한 측정 도구의 사용, 그리고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의 엄밀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reading-writing connection programs for Korean K-12 students. A total of 50 studies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97 to 2024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criteria: (1) theoretical approach, (2) type of program, and (3) component skills of measu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programs targeted preschool and elementary students, while studies 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limited. Second, many programs were grounded in shared knowledge/cognitive theory and functional theory, while relatively few were based on rhetorical relations theory. Third, the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with relatively limited research on home-based program, content literacy program, and remedial program. Lastly, the measures to evaluate program effectiveness were classified using the Interactive Dynamic Literacy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practical recommendations in eight areas: programs for secondary students, approaches of rhetorical relations theory, home-based programs, content literacy programs, remedial programs, the use of measurement tools, methodological rigor, and educa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목차

I. 서론
Ⅱ. 문헌고찰의 분석 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환,오문정,박채린,박용한. (2025).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학연구, 63 (2), 73-109

MLA

조성환,오문정,박채린,박용한. "유아 및 초・중・고등학생 대상 읽기-쓰기 연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학연구, 63.2(2025): 7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