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부모 참여 의사결정의 중요성 재조명: 교사의 학부모 신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Revisiting the importa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Focusing on teachers’ trust in par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전이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2호, 53~7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가 다양한 행위 주체와 상호작용하는 개방적 시스템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부모의 역할도 단순한 지원자를 넘어 공교육의 공동 설계자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부모 참여가 학교 만족이나 교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으며, 이것이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가 교사의 학부모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 참여적의사결정 풍토가 조성된 학교에서 교사의 학부모 신뢰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 지원보다는 교사 존중에 대한 신뢰 수준과 더 강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단순히 자녀 교육에 대한 공동 책임 수행의 신호로 기능하는 것을 넘어,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전문적 판단과 역할이 인정받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관계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 학부모의 실질적 학교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과 (2) 학부모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사 연수의 중요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s schools evolve into open systems interacting with a variety of stakeholders, the role of parents is increasingly viewed as extending beyond that of mere supporters to co-designers of public education.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on school satisfaction or teacher trust, with relatively few empirically examining how such involvement affects teachers themsel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on teachers’ trust in parents. The findings reveal that in schools where a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climate among parents is well established, teachers exhibi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rust in parents. Notably, this trust correlates more strongly with parents’ respect for teachers than with their involvement in learning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ory parental decision-making serves not only as a signal of shared responsibility for student education, but also as a relational signal through which teachers feel their professional judgment and roles are recogniz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policy implications: (1) the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support to ensure parents’ substantive participation in school affairs, and (2) the importance of teacher training aimed at improving perceptions of parental rol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전이. (2025).학부모 참여 의사결정의 중요성 재조명: 교사의 학부모 신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 (2), 53-72

MLA

이전이. "학부모 참여 의사결정의 중요성 재조명: 교사의 학부모 신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2(2025): 5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